마비노기 핵 쉴드 사칭하고 있다.
이번에는 KuGoo.exe 파일명을 이용하고 있으며 인젝션 대상으로 cmd.exe를 활용하고 있다.
'국내 악성코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악성코드 제작 거래소? (0) | 2015.02.16 |
---|---|
이번에는 lpk.dll 모듈 악용 다음 팟플레이어 변종 (0) | 2015.02.16 |
다음 팟플레이어 이용 또다른 변종 (0) | 2015.02.15 |
다음 팟플레이어 모듈 이슈는 현재진행형이다. (0) | 2015.02.13 |
[모바일 자동알림] 귀하의 교통위반 사실 및 [납부안내] 참조 스미싱 주의 (0) | 2015.02.13 |
파밍 테스트 파일? (0) | 2015.02.13 |
댓글을 달아 주세요